정인보의 '영명학 연론' 지행합일.

 




양명학 연론은 내 책장 속 깊은 곳에 잠들어 있던 책이다.  결혼하고 나서 구입했던 책인데 처음에는 전혀 이해하지 못해서 포기했으나 작년에 마음 먹고 다시 읽기 시작하여 8일 만에 완독했었다.   15년  가까이 책장 한 구석에 꽂혀 있던 정인보의 '양명학 연론'을 읽고 나니, '지행합일'의 가치를 다시 한 번 상기했고, 순수한 마음으로 살아가야겠다는 다짐을 하게 되었다.



 
      


    1. 정인보의 양명학 연론 책소개

    정인보의  '양명학 연론(陽明學 淵論)'은 조선 후기 유학자인 정인보가 쓴 저서로 중국의 왕양명의 사상을 한국 사회에 맞게 주자학의 한계를 극복하고자 소개하고 설명하는 작품이다.  정인보는 현대적 해석과 발전에 기여한 인물로, 양명학 연론에서는 양명학의 핵심 사상과 이론을 학국적인 맥락에서 재해석한 작품이다. 



    2. 양명학 연론의 주된 내용

    양명학은 중국 명나라의 유학자인 왕양명이 주장한 학문으로, 주로 '마음의 본질'과 '실천적 도덕'을 중시한다.  왕양명은 '지행합일' 이론을 강조하며, 도덕적 지식과 행동이 일치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실심(實心)이란? 강경학파 중심의 양명학에서 매우 중요한 개념으로 허위와 가식 없이 순수하고 진실된 마음을 의미한다.  

    자신의 몸을 닦고 관리하며 건강하게 사는 삶을 기초가 마음과 생각의 정화인데 마음을 바르게 하려면 먼저 자신의 의지를 확고히 하고, 그 의지를 성실하게 실행하기 위해서는 자신이 알고 있는 것을 올바르게 이해하고 실천해야 한다. 

    본 밑 마음 즉 자신의 진정한 마음을 의미하며, 다른 사람에게는 숨길 수 있지만, 자신에게는 숨길 수 없는 것으로 자신이 진정으로 원하는 것과 부끄러워하는 것을 분명히 알고 행동하라는 단순한 원칙으로 귀결된다.  

    또한 진정한 지식은 그 지식을 바탕으로 행동할 때 비로소 의미가 있으며 지식과 행동이 분리되어서는 안된다는 것이다. 




    3. 핵심 사상 지행합일(知行合一)

    양명학의 중심 개념 중 하나로 ' 앎이 있으면 반드시 행동하라.' 라는 뜻으로 단순히 앎에 그치지 말고 앎을 토대로 행동해야 진정한 앎이 완성된다고 강조하고 있다.  즉 진정한 지식은 행동으로 옮길 때 비로소 완전해 진다는 것이다  이는 지식이 이론적일 뿐 아니라 실천적이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4. 양명학 연론 결론

    양명학 연론은 인간의 본심이 선하며,  지행합일(知行合一)을 통해 진정한 도덕적 삶을 실천할 것을 강조하고 있으며, 지식과 행동이 일치해야 하며, 개인은 자신의 내면을 깊이 이해하고, 이를 바탕으로 도리를 실천해야 한다.  이러한 관점은 도덕적 성장과 사회적 책임을 중시하는 삶의 길을 제시하고 있다.  




    제러드 다이아몬드 '총,균,쇠' GUNS, GERMS, AND STEEL.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사츠 기법' 뜻? 끌어당김의 법칙 중 최고 SATS

    우아한 거짓말 줄거리 서평 정리

    족저근막염 자가 치료 방법? Plantar Fascitis self-medication